KATR BLOG microscope FT-IR로 읽는 2025 미세플라스틱 규제의 미래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한국분석시험연구원입니다.
오늘은 2025 미세플라스틱 규제의 미래에 대한 한국분석시험연구원의 분석기준과 시험에 대한 안내를 드리려고 합니다.
미세플라스틱 문제는 오랫동안 우려와 경고 수준에 머물러 있었으나,
2025년부터는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한 본격적인 규제가 열릴 예정입니다.
한국분석시험연구원(KATR)은 이러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microscope FT-IR 기반의 미세플라스틱 분석 시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업 및 기관의 정책 대응과 ESG 성과 확보를 위한 정밀 시험 인프라를 갖추고 있습니다.
왜 '분석 기준'이 중요한가?
그동안 국가마다 미세플라스틱 측정 방식, 입자 크기, 재질 분류 기준이 상이하여 규제와 비교가 어려웠습니다.
특히 1μm 이하의 나노플라스틱은 아직도 측정 기술이 미비합니다.
하지만 2025년부터는 측정 가능성과 정량성을 갖춘 분석 기술이 법적 규제와 인증 기준의 중심이 됩니다. 시험법의 표준화(EN,ISO,KS)는 곧 규제 대응의 기준이 되며, 분석 결과가 곧 규제 이행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가 됩니다.
2025년부터 달라지는 규제 환경
1. 유럽연합(EU)
intentionnally added 미세플라스틱이 포함된 제품 전면 금지(화장품, 농업용 코팅제, 합성잔디 등)
기업은 제품 내 미세플라스틱 포함 여부를 분석 보고서로 입증해야 함
EN 기반 라만 및FTIR 분석법 도입 중
*영국 : EU보다 강력한 일회용 해양 플라스틱 규제법을 통과시켰으며, 미세플라스틱 화장품도 금지
26년 4월 말에는 해양 플라스틱 오염을 막기 위한 포괄적 환경규제 법안을 공식 통과
(일회용 플라스틱 포장재 단계적 퇴출, 미세플라스틱 함유 화장품의 전면 금지 핵심 법안)
2. ISO 국제표준화
ISO TC61/SC14 작업 그룹 주도
해수, 담수, 퇴적물, 공기 등 매체별 측정법 표준화
향후 국제 인증, 환경 감시 기준에 적용
3. 대한민국
국립환경과학원 주도 분석 기준 수립
정수장, 하천, 하수, 세탁수,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 시범 측정 중 (2024년 수도권 정수장 평균 검출량: 0.9개/L)
2021. 1월부터 제조, 수입되는 세정제나 세탁 세제 등 마이크로비즈 사용을 금지한 바 있으며, 관련 규제를 강화 예정
*마이크로비즈는 미세플라스틱의 한 종류로, 세정력을 높이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하수구를 통해 바다로 흘러 들어가 해양 생태계를 오염시키고 해양 생물에게 흡수될 경우 건강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전세계적으로 마이크로비즈 사용 금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으며, 유럽 연합(EU)등에서도 규제 방안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2017.7.1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세정, 각질제거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에 남아 있는 5mm 크기 이하의 고체 플라스틱 사용 전면 금지.
<화장품에 주로 사용하는 플라스틱 성분>
*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styrene, Nylon-12(polyamide-12), Nylon-6, Poly(bu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isotere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thyl methylacrylate), Poly(pentaerythrityl terephthalate), Poly(propylene terephthalate), Polytetrafluoroethylene(teflon), Polyurethane, Polyacrylate, Acrylates copolymer, Allylstearate/vinyl acetate copolymers, Ethylene/ propylene/styrene copolymer, Ethylene/methylacrylate copolymer, Ethylene/acrylate copolymer, Butylene/ethylene/styrene copolymer, Styrene acrylates copolymer, Trimethylsiloxysilicate(silicone resin)
이러한 미세플라스틱 사용 금지 정책을 추진하는 이유는 미세플라스틱은 해양 생태계 파괴와 먹이사슬을 통해 인체에 유입될 수있어 건강 및 환경에 심각한 위협이 됩니다.
미세플라스틱은 생물 체내에 들어가 소화기 손상, 염증 반응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질병 발생률과 사망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은 환경 호르몬 문제를 일으키거나 토양 생태계 교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미세플라스틱 사용 금지 정책을 활성화할 시 해양 생태계 보호, 플라스틱 오염 감소, 인체 건강 보호, 질병 예방, 친환경적인 제품 사용과 생산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기업과 산업의 준비 방향
제품 내 미세플라스틱 포함 여부 확인 → 분석 보고서 요구
대상: 화장품, 세정제, 농자재, 건축자재 등
ESG 보고서 내 환경 성과 지표 반영: 배출량, 절감률, 측정빈도 등 정량적 평가
이와 같은 변화는 단순한 대응을 넘어, 제품 신뢰도 제고 및 친환경 인증 확보의 기반이 됩니다.
KATR의 분석서비스 : microscope FT-IR 기반 시험
한국분석시험연구원은 미세플라스틱 규제 대응을 위한 microscope FT-IR 기반의 정밀 분석 시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품 내 미세플라스틱 정성 및 정량 분석
FTIP 및 라만 분광법 기반의 국제 표준 대응 시험
ESG 보고서용 환경 성과 지표 지원
정밀 분석은 이제 선택이 아닌 규제 대응의 필수 조건입니다.
한국분석시험연구원은 기업이 2025년 강화되는 국내외 미세플라스틱 규제에 과학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공인 시험 인프라와 전문 인력을 기반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 Prev.KATR 250721 항산화 연구리포트 농산물, 과일의 항산화력 테스트3 25.07.22
- Next.[KATR YouTube] 채소와 과일의 항산화 효능 평가 2편 25.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