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TR BLOG NO assay - Macrophage의 활성 측정 (NO의 양을 정량 하여 염증 유발의 정도를 파악)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KATR 입니다.
오늘은 NO assay - Macrophage의 활성 측정 (NO의 양을 정량 하여 염증 유발의 정도를 파악) 시험법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려고합니다.
사용되는 Cell line 목록
RAW264.7 (마우스 면역세포주 – 항염 관련 실험 진행)
RAW 264.7 세포는 생쥐의 복막 대식세포에서 유래된 세포주입니다.
대식세포는 선천 면역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외부 침입자를 탐식하고 제거하며, 염증 반응을 유도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RAW 264.7 세포는 이러한 대식세포의 특징을 잘 유지하고 있어, 면역학, 염증 반응, 종양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실험 모델입니다.
[출처] 제약 및 바이오 용어) RAW 264.7 대식세포 (RAW 264.7 macrophage)|작성자 점핑맨
(참고 링크 : 원시 264.7 - TIB-71 | 증권 시세 표시기 )
시료정보
분말 (DMSO를 용매로 하여 액상형태로 용해 가능), 기기 및 Gel (배지에서 용출 가능)
* 물에 녹는 시료는 세포가 터져버리는 용혈 현상 발생
농도
1) 1-3가지 농도 진행
(원하는 농도가 있다면 제시, 없으면 MTT 진행 후 적정 농도에서 진행)
* 농도가 있는 경우 (uM, mg/ml)
* 농도가 없는 경우 원액을 100 %으로 두고 1%가 최대 처리 농도 (안내 필요)
시험방법
① 세포는 37 ℃, 충분한 습도, 5 % CO2 인큐베이션 시켜 유지한다.
② 96 well에 cell seeding (5X104 Cells/100 ul))후 24 시간동안 배양 후 배양액을 제거한다.
③ LPS (1 ug/ml)을 각 well에 처리한다.
④ cell에 농도별로 희석된 시료 처리 (100 µl) – 4개 이상의 농도로 진행
* LPS는 cell에activating signal 을 주고 inducible NO synthase 의 발현시켜NO를 합성한다.
⑤ LPS를 처리한 Cell에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다.
* 대조구/LPS처리/LPS+시료 처리
⑥ 반응 시간이 지나면 Sup(배양 상등액)을 따서 새로운 well에 옮긴다.
⑦ Griess Reagent (Reagent A:B = 1:1) 시약을 처리하여 흡광도를 측정한다.
평가 특이사항
NO standard curve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NO 생성량을 도출한다.
RAW264.7 세포는 NO assay를 활용한 면역 반응 연구에 매우 유용한 모델 세포주입니다.
이 시험법은 간편하면서도 높은 재현성을 가지며, 다양한 생리학적 및 약리학적 연구에 활용될 수 있기때문에
연구 목적에 따라 적절한 NO assay 시험방법을 선택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데요,
NO assay 시험은 한국분석시험연구원에서 시험 접수 받고 있으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 Prev.RT-PCR (Real-Time PCR) – target gene의 mRNA 발현량 측정 25.03.07
- Next.MTT/ WST-8 assay (높은 민감성 및 안정성) – 세포 독성 평가 시험 25.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