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TR BLOG RT-PCR (Real-Time PCR) – target gene의 mRNA 발현량 측정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KATR 입니다.
오늘은 RT-PCR (Real-Time PCR) 시험법에 대한 정보를 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PCR 이란?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시험은
RNA를 기반으로 한 유전자 분석 방법으로, 감염병 진단부터 유전자 발현 분석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됩니다.
사용되는 Cell line 목록
1) MRC5 (인간유래세포, 섬유아세포)/기본 세포주
2) CCD986SK (인간유래세포주- 주름/보습 세포)/기본세포주
3) RAW264.7 (마우스 면역세포주 – 항염 관련 실험 진행)
4) B16F10 (마우스 흑색종 세포- 미백관련 실험 진행)
5) HFDPC (모유두세포- 모발시험 진행)/가격에 +30만원
6) L929 (마우스 섬유아세포 – 의료기기 용출 실험에 주로 사용됨)
7) 3T3L-1 (지방전구세포- 항비만 및 당뇨 실험 진행)
* 분화유도 기간 10일 추가 필요
8) HepG2 (간암세포주 – 지방간 및 간 관련 실험 진행)
시료정보
분말 (DMSO를 용매로 하여 액상형태로 용해 가능), 기기 및 Gel (배지에서 용출 가능)
농도
1) 1-3가지 농도 진행
(원하는 농도가 있다면 제시, 없으면 MTT 진행 후 적정 농도에서 진행)
* 농도가 있는 경우 (uM, mg/ml)
* 농도가 없는 경우 원액을 100 %으로 두고 1%가 최대 처리 농도 (안내 필요)
Primer 정보 (시험을 진행할 발현인자 선택)
1) 암세포 (p53, BCL-2, Caspase3)
2) 염증 반응 (IL-1α, IL-1β, IL-6, TNF-α, IFN-γ, TGF-β1, IL-10)
3) 미백 (TYRP-1, TYRP-2, MITF)
4) 항주름 (MMP-1, MMP-2, MMP-3, COL1A1, pro-COL1A1)
5) 피부장벽 (FLG, AQP-3, hBD, IVL, LOR, HAS )
6) 아토피 (IL-1α, IL-1β, IL-6, TNF-α, IFN-γ,TGF-β1, IL-10)
7) 항비만 (PPARγ, c/EBPa, SERB1)
8) 탈모 (β-catenin)
시험방법
① 세포는 37 ℃, 충분한 습도, 5 % CO2 인큐베이션 시켜 유지한다.
② 100 파이 플레이트에 cell seeding (각 세포마다 seeding 되는 세포수 상이)
③ 반응시간 후 cell 배양배지 suction하고, RiboEX 1ml을 처리하여 5분 동안 쉐이킹 진행
④ chloroform 200 ul를 처리하여 vortexing 한 뒤 15분, 13000 rpm, 4 ℃ 원심분리
⑤ GeneAll® Hybrid-R™ Kit를 사용하여 RNA 농도 측정
⑥ [GenDEPOT] amfiRivert cDNA Synthesis Platinum Master Mix를 통해 cDNA 합성
⑦ cDNA 1 ug + primer (F,R), SYBER GREEN + water를 섞어 RT-PCR을 진행한다.
* 실험은 4 반복으로 진행한다.
평가 특이사항
GAPDH Ct 값과 발현 유전자 Ct값을 비교하여 유전자 발현 결과를 확인한다.
RT-PCR 시험법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감염병 진단: COVID-19, 인플루엔자, HIV, 간염 등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전자 발현 분석: 특정 유전자가 얼마나 활성화되어 있는지 측정할 수 있어, 암 연구 및 신약 개발에 활용됩니다.
식품 및 환경 검사: 유전자 변형 생물(GMO) 검사 및 식중독균 검출 등에 사용됩니다.
이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활용되는 RT-PCR 시험인만큼,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더욱 신속하고 정확한 유전자 분석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국분석시험연구원에서는 RT-PCR 시험접수도 가능하니 많은 문의 부탁드립니다.
- Prev.Tyrosinase inhibition assay – 체외/체내 타이로시네이즈의 양 측정 25.03.10
- Next.NO assay - Macrophage의 활성 측정 (NO의 양을 정량 하여 염증 유발의 정도를 파악) 25.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