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TR BLOG [KATR YouTube] 채소와 과일의 항산화 효능 평가 1편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KATR 한국분석시험연구원입니다. 이번에는 우리 식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채소와 과일들의 항산화 성분에 대해 리뷰해보려고 합니다.
"과일과 채소는 몸에 좋다" 라는 말, 너무 흔하게 들리시죠? 하지만 정량적인 데이터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한 정보는 드물기 때문에 이번 실험은 꽤 의미 있는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실험 결과는 원산지, 수확 시기 등 여러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해주세요.
먼저,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이번 실험은 국내산 재료만을 사용했으며,
마늘, 양파, 상추, 블루베리, 대파, 거봉, 달래, 청양고추, 브로콜리 총 9가지 채소 및 과일로 실험하였습니다.
실험방법은 이렇게 진행하였습니다.
항산화 효능 측정을 위해 세 가지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1.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 항산화제가 얼마나 잘 작용하는지를 보는 실험
보라색의 DPPH 용액이 항산화 물질에 의해 노란색으로 변하는 정도를 흡광도(517nm)로 측정
수치가 낮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우수
2. TPC (총 페놀함량)
→ 항산화 효능을 유도하는 페놀 화합물의 양 측정
Folin-Ciocalteu 시약을 사용해 색 변화 측정 (765nm)
3. TFC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 강력한 항산화 물질인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측정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시약과 반응시켜 흡광도(510nm)측정
실험 결과 공개! 어떤 재료가 가장 뛰어났을까?
DPPH 항산화 활성 (IC50 mg/mL, 낮을수록 좋음)
블루베리가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그 뒤를 달래, 거봉이 이었습니다. 반면, 마늘, 양파, 청양고추는 상대적으로 낮은 활성을 보였습니다.
TPC - 총 페놀 함량
거봉이 가장 많은 페놀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었고, 블루베리와 마늘도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TFC -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다시 블루베리가 압도적이었고, 양파와 거봉이 뒤를 이었습니다. 브로콜리, 청양고추, 대파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전 리뷰에서 실험한 아메리카노의 항산화 효능과도 비교한 내용은 연구성과의 연구개발실적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KATR 유튜브 영상과 블로그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katr01/223866361146
https://www.youtube.com/channel/UCBD86tEHmfBhbhP4okIbgJw
- Next.KATR 250421 항산화 연구리포트 농산물, 과일의 항산화력 테스트1 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