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TR BLOG MIC Test 시험정보 및 방법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0^ KATR 입니다!
오늘은 MIC Test 시험에 대한 정보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MIC란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의 약자로, 최소억제농도를 의미합니다.
즉, 특정 미생물의 성장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는 최소한의 항균제 농도를 뜻합니다.
MIC 값이 낮을수록 해당 항균제가 적은 농도로도 미생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의미로,
이는 항생제나 소독제의 효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MIC Test는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최소한의 항균제 농도를 측정하는 시험방법으로
주로 항생제, 소독제, 방부제 등의 항균 효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조금 더 자세히 시험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시료 정보
mg/ml 또는 % 단위로 시료 수령 및 희석 가능해야 함 (용출로는 실험 불가)
◆ 시험 방법
① 전 배양 균주를 식염수+10% 배지로 희석하여 McFarland (0.5)로 맞추거나 1 X 106로 맞추기
② 균 100 μl + 시료 100 μl 96 well에 분주. (시료의 최종 농도는 실험 농도의 1/2)
* 항상 최종농도 기준으로 시료 준비 필요
③ 18 -24 h 후 흡광도 OD600에서 측정
◆ 평가 특이사항
1) 균의 흡광도가 낮아지기 시작하는 농도 (MIC : 저해농도)
1) 균의 흡광도가 Blank와 같아지는 농도 (MBC : 사멸농도)
◆ MIC Test 시험의 장점
항균제의 정확한 효능 평가
적절한 항생제 선택 가능
항생제 내성 연구에 활용
방부제 및 소독제 평가
신약 개발 및 연구에 필수
비용 절감 및 효율적인 항균제 사용
이와같이 MIC Test 시험은 단순한 항균제 평가뿐만 아니라 임상치료, 신약 개발, 내성 연구, 제품 안전성 검증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시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분석시험연구원에서는 MIC Test 시험접수도 받고 있으니, 많은 문의 부탁드립니다!
- Prev.외용소독제 효력평가 가이드라인 시험정보 및 방법 25.02.26
- Next.KS M ISO 11930-시험정보 및 방법 25.02.25